본문 바로가기
국가자격증/사회복지사

아동복지법의 개념과 특성 및 역사

by 서리니 2017. 11. 14.
반응형

아동복지법의 개념과 특성 및 역사



아동과 관련하여 실천되는 사회복지분야를 통칭해 아동복지법이라고 하는데 1960년대 미국의 아동복지 개념에 지초하여 아동복지를 "부모가 아동양육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거나 또는 그 지역사회가 아동과 가족이 요구하는 보호와 자원을 제공할 수 없을 때에 한하여 특정 기관에서 아동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아동복지법의 발달초기에는 주로 요보호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환경의 영향보다는 약화된 개별 가족기능의 보호에 초점을 두고 아동복지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실천되는 전문적인 사회복지활동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아동복리법(1961년)에서 규정한 정의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은 협의의 아동복지 개념은 다원화된 사회의 발달과 아동권리의 확대, 그리고 사회복지 발달과 함께 요보호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까지 아동복지의 대상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동복지기관을 중심을 넘어서 국가와 지방정부 및 민간 차원의 다각적인 실천과 법제도의 마련을 고려하며, 아동복지 실천 범위가 바람직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을 위한 전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아동만을 지원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부모, 형제자매, 친척, 동거보호자 등을 포괄함으로써 광의의 개념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카두신'과 '마틴'은 아동복지를 협의의 개념인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아동복지 관련기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모든 아동의 행복을 위해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을 보호하고 촉진하기 위한 모든 대책을 아동복지로 넓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friedlander와 Apte는 아동복지를 "빈곤, 방임, 유기, 질병, 결함 등을 지닌 아동 또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비행아동에게만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모든 아동이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서 안전하며 행복할 수 있도록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공공과 민간의 기관에서 실시하는 사회적. 경제적. 보건적인 제반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협의 및 광의의 아동복지 개념을 종합해 볼 때, 아동복지란 요보호 아동은 물론 모든 아동의 기본적 욕구 충족과 함께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 최적의 발달을 위해 치료적 혹은 예방적 차원에서 아동과 가족 및 관련자에게 직 간접적으로 실천되는 사회전반적인 활동의 의미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