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자격증/사회복지사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사회양심이론(Social Conscience Theory)

by 서리니 2017. 10. 21.
반응형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사회양심이론(Social Conscience Theory)



사회양심이론이란 1952년 Hall의 "The Social Services of Modern England"에서 잘 나타나 있다는데요, 'M. Penelope Hall'은 사회복지란 다른 사람들의 불행을 도우려는 사회양심의 발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사회양심이론은 1950년대 영국 사회복지정책학의 통설로 사회복지는 사람들의 이타심이 발현된 것이며, 사회양심이론에 의하면 복지국가는 인간의 본성이나 가치에 비추어 당연한 귀결이라고 간주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사회양심이론



J. Baker(1979년) 가설에 의한 사회복지정책 이론


① 사회정책이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기 마련인데 타인에 대한 사랑을 국가를 통해 실현하는 것이다.

② 사회정책은 사회적 의무감의 확대와 욕구에 대한 국민들의 지식 향상이란 두 요인에 의해 변화된다.

③ 변화는 누적적이며 사회복지는 균일하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발전해 나간다.

④ 개선은 불가피하며 현행서비스는 지금까지 중 최선의 것이다.

⑤ 역사적으로 현행 서비스가 완전한 것은 아닐지라도 사회복지의 주된 문제는 이미 해결되었으며 사회는 안정 기반 위에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양심이론의 장점은 낙관적이고 문제해결 중심의 시각으로서 이 이론은 사회질서에 있어서 도덕성을 최우선적인 신념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회양심이론으로 볼때 20세기 초반 사회복지의 발달은 도덕적 합의에 대한 정부의 반응이었는데 즉. 사회복지는 사회적 이타주의(Social Altruism)의 변화가 제도화된 것이며 정부는 이것을 위해 재정을 지원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사회양심이론




사회양심이론의 단점을 보면 만일 사회양심이론가들이 주장하는데로 사회정책이 사회양심의 발로라고 한다면 모든 인간사회에서는 똑같이 사회양심에 의해 사회복지정책이 발전해야 하지만 모든 사회는 똑같지가 않다는 것. 즉 사회양심이론의 비판은 다음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① 사회복지정책의 자비적 특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국가의 역할에 관련된 왜곡된 견해를 가지고 있다.

② 사회정책의 형성 및 변화에 영향력을 주는 압력 및 영향에 관한 분석이 협소할 수 있다.

③ 만약 사회복지정책이 이타심의 발현이라면 이러한 가치의 표현은 모든 형태의 사회에서 비슷하게 나타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사회양심이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