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란, 전환장애 원인과 증상 및 치료
현대이들이 앓고 있는 여러가지 정신적 질환, 개인의 문제 만이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도 크게 이슈화 되고 있는데요, 해서 오늘은 누구도 알지 못하는 사이 본인에게 발생가능한 정신질환의 문제로 전환장애에 대한 원인과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전환장애란 심리적인 갈등에 의해 감각기관이나 운동기능에 극적인 기능 상실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주로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의학 검사상으로는 신체적인 이상을 찾을 수 없는데 신체적인 기능의 변화나 상실을 호소하며 이린 증상의 발병 악화 등이 일시적인 환경의 자극들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증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자신에게 도움이 될 때 주로 발생하며 특히 어린이들에게서는 신체와 정신의 구별이 분명하지 못하고 두 요소가 동시에 스트레스에 방응하기 때문에 이런 형태의 증상의 효소가 많으며 물론 의도적으로 꾸며서 하는 것도 아닌 것이죠
전환장애의 원인
피동 의존적, 피동 공격적, 히스테리성 성격을 가진 경우에 그 원인 잘 발생하게 되는데요, 특히 성적으로 미숙하고 자율신경계의 과민성, 강한 피암시성, 이기주의, 고통을 참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서 흔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천환장애의 발병은 사춘기와 성년기 초기에 잘 발생하며 보통 자신감이나 체면을 손상시키거나 이해관계에서 손해를 보는 경우, 어려움이나 자극들이 발병의 직접적인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으로 인해 주위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자기에게 유리하게 혹은 체면 손상이나 불리한 상황을 피하는 계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환장애 증상
흔히 두가지 정도의 증상이 동반되거나 독자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하나는 운동장애로 손발이나 전신이 떨리거나 마비가 되면서 경련이 일으너 쓰러지기도 합니다.
두번째는 감각장애로 패부의 감각 마비로 인해 "무릎 이하의 감각이 없다"라고 느낄 수 있으며 신경의 분포와는 일치하지 않는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배가 이유없이 아프거나, 구토, 목안의 덩어리가 들어 있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전환장애 치료
치료는 일반적 지침으로 증상이 생김으로써 얻을 수 있는 2차적인 이득을 차단함과 동시에 사회복지사 및 심리상담원과의 면담을 통해 문제를 파악하고 마음의 갈등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적절한 시기에 증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요법은 일시적인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예방적으로는 사용될 필요가 없으며, 개인 심리상담과 집단치료가 권장되고, 만약 어린이나 청소년일 경우 놀이요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국가자격증 > 사회복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과 보험료 및 급여소득 기준 (0) | 2017.09.26 |
---|---|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법률과 도입배경 (0) | 2017.09.25 |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란? 특징에 대해서,,, (0) | 2017.09.11 |
기초노령연금수급요건, 자격, 신청방법 (0) | 2017.09.09 |
사회복지사1급시험, 자격증 취득 방법 (0) | 2017.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