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걸렸을 때 제일 고민되는 게 바로 약 복용이죠. 특히 모유 수유 중이라면 약 하나도 쉽게 먹기 어려워요. 혹시라도 아기에게 영향을 줄까 걱정이 앞서게 되죠.
하지만 대부분의 감기약 성분은 수유부에게도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어요. 중요한 건 ‘성분 확인’과 ‘복용 타이밍’이에요. 무조건 안 먹는 건 오히려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어요.
내가 생각했을 때, 수유 중 약 복용은 ‘선택’이 아니라 ‘정보의 문제’ 같아요. 어떤 성분은 괜찮고 어떤 성분은 피해야 하는지, 지금부터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 수유 중 약 복용, 왜 조심해야 할까?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좋은 영양 공급원이지만, 엄마가 섭취한 약물의 일부 성분이 모유로 전달될 수 있어요. 따라서 약 복용 시 그 성분이 아기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특히 신생아나 미숙아는 간과 신장이 아직 미성숙해서 약물에 대한 해독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성분에 따라선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요.
하지만 모든 약이 위험한 건 아니에요. 많은 연구를 통해 수유 중에도 안전한 성분과 용량 범위가 밝혀졌고, 실제로 많은 산모들이 복용 후 아무 문제 없이 수유하고 있어요.
✔️ 일부 약물 성분은 모유를 통해 아기 체내로 전달될 수 있음
✔️ 아기의 체중, 나이, 간 기능에 따라 반응이 다름
✔️ 무조건 금지보단 안전한 성분 구별이 중요
✔️ 복용 후 일정 시간 수유 피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 안심하고 복용 가능한 성분
아래 성분들은 모유 수유 중 복용해도 비교적 안전하다고 인정된 성분들이에요. 의사 상담 후 복용하면 대부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해열·진통 효과, 안전성 높음
✔️ 이부프로펜: 소염·진통제, 모유 농도 낮고 부작용 거의 없음
✔️ 클로르페니라민: 항히스타민제, 졸림 유발 가능하지만 수유에 영향 적음
✔️ 덱스트로메토르판: 기침 억제제, 미국 소아과학회도 안전하다고 인정
✔️ 설파세탁졸, 페니실린계 항생제: 대부분 수유 중 사용 가능
✔️ 생약 성분 감기약 (국화, 도라지 등): 농축제제 제외 시 대체로 안전
다만 졸림 유발 성분이 있는 경우 아기에게 영향 줄 수 있으니, 수유 직후 복용하거나 밤 시간 복용이 더 안전해요.
❌ 피해야 할 감기약 성분
반대로 수유 중엔 되도록 복용을 피하거나, 전문가 상담 후 복용해야 하는 성분도 있어요. 아래 성분은 모유를 통해 전달될 경우 아기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
✔️ 슈도에페드린: 코막힘 완화 성분이지만 모유량 감소 부작용 있음
✔️ 코데인: 진통·기침 억제 성분, 아기에게 호흡억제 유발 위험
✔️ 항히스타민 1세대 (디펜히드라민 등): 졸림 유발 심하고 아기 반응 있을 수 있음
✔️ 특정 항생제 (퀴놀론계, 테트라사이클린 등): 성장기 아기 뼈와 치아에 영향 우려
✔️ 알코올이 함유된 한방 감기약: 아기 간 기능에 부담
모유 수유 중이라면 약국에서 ‘감기약 주세요’ 한마디보다, 약사에게 수유 중임을 꼭 알리고 성분 확인하는 게 제일 중요해요.
📊 성분별 안전성 비교표
💊 주요 감기약 성분 안전성 정리
성분명 | 효능 | 수유 중 안전성 | 비고 |
---|---|---|---|
아세트아미노펜 | 해열, 진통 | 안전 | 일반 감기약에 흔히 포함 |
이부프로펜 | 소염, 진통 | 안전 | 모유 농도 낮음 |
덱스트로메토르판 | 기침 억제 | 안전 | 수유 중 사용 가능 |
슈도에페드린 | 코막힘 완화 | 주의 | 모유량 감소 우려 |
코데인 | 기침 억제, 진통 | 금지 | 아기 호흡억제 위험 |
클로르페니라민 | 항히스타민 | 안전 | 졸림 유발 가능 |
성분별로 구분해보면 의외로 수유 중 복용 가능한 성분도 많다는 걸 알 수 있어요. 표를 참고해서 약 성분을 꼭 확인하고 복용하세요.
📌 복용 시 꼭 지켜야 할 수칙
약 성분이 안전하더라도 복용 시 수유 스케줄과 맞추는 게 중요해요. 약을 복용할 땐 아래 수칙들을 참고해 주세요.
✔️ 복용 전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수유 중임을 알리기
✔️ 수유 직후 약을 복용하고 다음 수유까지 시간 확보
✔️ 신생아일수록 더욱 주의 필요 (생후 1개월 이내)
✔️ 약물 복용 중 아기에게 졸림·무기력 증상 없는지 관찰
✔️ 가능하면 단일 성분 제품 선택 (복합감기약은 피하기)
✔️ 한방 감기약, 건강보조식품도 반드시 성분 확인
✔️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은 1차 선택 약으로 고려
무조건 참기보다는, 정보에 기반한 안전한 복용이 수유부와 아기 모두를 위한 선택이에요.
📘 FAQ
Q1. 수유 중 약 먹으면 아기에게 바로 영향 가나요?
A1. 일부 성분은 모유로 전달되지만, 대부분 극소량이에요. 다만 신생아는 예외일 수 있어요.
Q2. 병원에서 약 처방받을 때 수유 중이라 하면 괜찮나요?
A2. 네, 수유 중이라고 말하면 안전한 약 성분으로 조절해서 처방해줘요.
Q3. 코감기약 먹었는데 모유량이 줄었어요. 왜죠?
A3. 슈도에페드린 같은 성분은 모유 분비 억제 작용이 있어요. 다음부터는 성분을 꼭 확인해야 해요.
Q4. 약 복용 시간과 수유 시간은 어떻게 맞춰야 하나요?
A4. 수유 직후 복용하면 다음 수유까지 시간 여유가 생겨 모유 속 약물 농도가 줄어들어요.
Q5. 아이가 이상 반응을 보이면 어떻게 하나요?
A5. 즉시 수유를 중단하고, 소아과에 내원해 상담하세요. 약 이름과 시간도 함께 기록해두면 좋아요.
Q6. 한방 감기약은 더 안전한가요?
A6. 꼭 그렇지는 않아요. 알코올 추출물이나 고농축 생약은 오히려 아기에게 더 부담이 될 수 있어요.
Q7. 타이레놀만 먹으면 괜찮을까요?
A7. 네, 타이레놀 성분(아세트아미노펜)은 수유 중 가장 많이 권장되는 해열진통제예요.
Q8. 수유 중 감기약은 약국에서 그냥 사도 되나요?
A8. 되도록이면 약사에게 수유 중임을 알리고, 성분을 확인한 뒤 복용하는 게 안전해요.